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0)
지구 중심부, 뜨거운 외핵이 만드는 자기장의 비밀 지구 중심부, 뜨거운 외핵이 만드는 자기장의 비밀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지구는 눈에 보이지 않는 방패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바로 자기장입니다. 이 자기장이 없다면 태양에서 쏟아지는 강력한 입자와 우주 방사선이 지표면을 직격해 생명체가 살아남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거대한 보호막은 지구 깊은 속, 우리가 직접 볼 수 없는 **외핵(outer core)**에서 시작됩니다.지구의 내부 구조 이해하기지구는 껍질처럼 단단한 지각, 그 아래의 맨틀, 그리고 중심부의 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핵은 다시 **내핵(inner core)**과 **외핵(outer core)**으로 나뉩니다.내핵은 철과 니켈로 이루어진 고체 덩어리이며, 지구의 가장 깊은 곳을 차지합니다.외핵은 철과 니켈이 고온에서 녹아 액..
불과 몇 천 년 전의 기후 변화가 만든 극적인 변신 불과 몇 천 년 전의 기후 변화가 만든 극적인 변신지구의 기후는 수백만 년 동안 변해왔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시기에서 불과 몇 천 년 전에도 놀라운 변화들이 일어났습니다. 이 변화들은 대륙의 모습, 바다의 경계, 숲과 사막의 분포, 그리고 인류 문명의 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인류 역사 속에서 비교적 ‘가까운 과거’에 벌어진 기후 변화와 그로 인한 극적인 지구의 변신을 살펴봅니다.1. 빙하기의 종말과 해수면 상승약 1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서서히 끝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은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그 결과, 북반구를 덮고 있던 거대한 빙상이 녹기 시작했고, 녹은 빙하수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을 수십 미터나 끌어올렸습니다.당시 해안선은 지금보다 훨씬 더 내륙 쪽에 있었으며, 해..
해저 열수광상, 바닷속의 보물 창고 해저 열수광상, 바닷속의 보물 창고깊고 어두운 바다 속, 수천 미터 아래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보물 창고’가 존재합니다. 바로 **해저 열수광상(hydrothermal vent deposit)**입니다. 해저 열수광상은 해저 화산 활동과 지각의 열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광물 집합체로, 구리·아연·금·은·망간·희귀금속 등 산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자원이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단순한 자원 매장지가 아니라, 지구 생태계와 지질 활동의 비밀을 간직한 중요한 장소이기도 합니다.1. 해저 열수광상이란 무엇인가?해저 열수광상은 해저에서 뜨거운 열수(고온의 물)가 분출되면서 주변의 금속 성분이 침전되어 형성된 광물 덩어리를 말합니다. 해저 열수는 주로 해저 화산 지대나 판 경계에서 발생하며, 온도가..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은 얼마나 높아질까?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은 얼마나 높아질까?바닷물 높이(해수면)는 단순히 “얼음이 녹는다”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해빙(바다얼음)과 육지 위에 쌓인 빙상·빙하가 다르게 작용하고, 따뜻해진 바닷물이 팽창하는 효과까지 합쳐져 해수면을 변화시킵니다. 이 글에서는 무엇이 해수면을 올리는지, 어느 정도 상승하는지, 지역마다 왜 차이가 나는지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무엇이 해수면을 올리나? 핵심 메커니즘 3가지열 팽창(thermosteric rise)바닷물이 따뜻해지면 밀도가 줄어 부피가 커집니다. 얼음이 전혀 녹지 않아도 기온 상승만으로 해수면이 올라갑니다.육지얼음의 유실(그린란드·남극·산악빙하)빙상과 빙하가 녹아 물로 바다에 유입되면 해수량이 늘어납니다. 이게 해수면 상승의 가장 직접적인..
대륙이 떠다니는 증거, ‘화석의 불일치’ 대륙이 떠다니는 증거, ‘화석의 불일치’대륙은 고정된 땅덩어리가 아니라, 지구 표면을 떠다니는 판의 일부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판 구조론(Plate Tectonics)’을 통해 이를 설명하지만, 과거에는 대륙이 움직인다는 발상조차 혁명적인 생각이었습니다. 이 이론을 뒷받침한 핵심 증거 중 하나가 바로 ‘화석의 불일치(Fossil Mismatch)’입니다. 서로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고대 생물의 화석이 발견된 현상은, 대륙이 한때 붙어 있었음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화석의 불일치가 어떻게 발견되었고, 대륙 이동설을 어떻게 뒷받침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대륙 이동설의 등장1912년, 독일의 기상학자이자 지질학자인 **알프레트 베게너(Alfred Wegener)**는 대..
바다 속 ‘열염 순환’이 기후를 바꾸는 방식 바다 속 ‘열염 순환’이 기후를 바꾸는 방식바다는 단순히 지구 표면의 물 저장고가 아니라, 지구 전체 기후 시스템을 조절하는 거대한 엔진입니다. 그중에서도 **열염 순환(thermohaline circulation)**은 해수의 온도(thermal)와 염분(saline)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심층 해류 흐름을 말하며, ‘지구의 컨베이어 벨트’로 불릴 정도로 전 세계 해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거대한 해류 시스템은 지구의 기온 분포, 해양 생태계, 그리고 장기적인 기후 변화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1. 열염 순환이란 무엇인가?열염 순환은 바닷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움직입니다. 물의 밀도는 온도가 낮고 염분이 높을수록 커집니다. 북대서양과 남극 해역처럼 차갑고 소금기가 많은 물은 무겁기 때문..
‘지진 그림자 구역’이 알려주는 지구 핵의 구조 ‘지진 그림자 구역’이 알려주는 지구 핵의 구조지진이 발생하면 지표면을 따라 진동이 퍼져 나가지만, 전 세계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지진파를 감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 즉 **지진 그림자 구역(Seismic Shadow Zone)**이 존재합니다. 이 신비로운 현상은 지구 내부 구조, 특히 핵의 성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진 그림자 구역이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지구 핵의 구조를 어떻게 알아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지진파의 종류와 성질지진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P파(Primary Wave): 종파로, 입자가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동합니다. 고체·액체·기체 모두 통과할 수 있으며 속도가 빠릅니다.S파(..
지하 동굴 속 ‘석순’과 ‘종유석’이 자라는 속도와 형성 비밀 지하 동굴 속 ‘석순’과 ‘종유석’이 자라는 속도와 형성 비밀깊고 어두운 지하 동굴 속에 들어서면, 천장에서 뾰족하게 내려오는 종유석과 바닥에서 솟아오르는 석순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신비로운 지형은 마치 시간이 멈춘 듯 고요하지만, 실제로는 수천 년, 수만 년에 걸쳐 아주 느리게 자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석순과 종유석은 어떻게 형성되며, 그 성장 속도는 얼마나 될까요?1. 석순과 종유석의 정의종유석(Stalactite): 동굴 천장에서 아래로 자라는 탄산칼슘(CaCO₃) 구조물석순(Stalagmite): 동굴 바닥에서 위로 자라는 탄산칼슘 구조물두 구조물은 결국 서로 만나 ‘석주(石柱, Column)’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과정은 수천 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2. 형성 원리 – 한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