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은 얼마나 높아질까?

금융지식 알리미 2025. 8. 15. 05:00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은 얼마나 높아질까?

바닷물 높이(해수면)는 단순히 “얼음이 녹는다”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해빙(바다얼음)과 육지 위에 쌓인 빙상·빙하가 다르게 작용하고, 따뜻해진 바닷물이 팽창하는 효과까지 합쳐져 해수면을 변화시킵니다. 이 글에서는 무엇이 해수면을 올리는지, 어느 정도 상승하는지, 지역마다 왜 차이가 나는지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해수면

 


1) 무엇이 해수면을 올리나? 핵심 메커니즘 3가지

  1. 열 팽창(thermosteric rise)
    바닷물이 따뜻해지면 밀도가 줄어 부피가 커집니다. 얼음이 전혀 녹지 않아도 기온 상승만으로 해수면이 올라갑니다.
  2. 육지얼음의 유실(그린란드·남극·산악빙하)
    빙상과 빙하가 녹아 물로 바다에 유입되면 해수량이 늘어납니다. 이게 해수면 상승의 가장 직접적인 요인입니다.
  3. 지표 변화와 물 저장의 이동
    대륙 지하수 펌핑, 저수지 축조, 지반의 융기·침강도 지역 해수면을 바꿉니다.

※ 바다에 떠 있는 해빙이 녹는 것은 거의 해수면을 올리지 않습니다. 이미 부력을 상쇄하며 떠 있기 때문입니다(아르키메데스 원리).


2) “다 녹으면 얼마나 오르나?” 장기 극한 가정

  • 그린란드 빙상이 전부 녹을 경우: 약 7m 안팎 상승
  • 남극 빙상이 전부 녹을 경우: 약 50~60m 상승
  • 전 세계 산악빙하 전부 소실: 대략 0.4~0.5m
    → 이론적으로 모든 육지얼음이 사라지면 해수면은 약 65~70m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수천 년 규모의 극단적 가정이며, 당장 우리가 겪는 세기 규모 전망과는 별개의 이야기입니다.

3) “우리 세대에 얼마나 오르나?” 세기 규모 관측·전망의 범위

  • 지난 수십 년 동안 관측된 전지구 평균 해수면은 연간 수 mm 속도로 상승해 왔고, 최근일수록 속도가 빨라진 경향이 있습니다.
  • 21세기 말(2100년) 전망은 배출 경로와 빙상 반응에 따라 폭이 넓지만, 일반적으로 약 0.3m ~ 1m 내외 범위가 자주 제시됩니다.
  • 빙상 붕괴가 가속되는 저확률·고영향 시나리오에서는 1m를 웃도는 수치가 거론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강력한 감축과 적응이 병행되면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에 머물 수 있습니다.

4) 지역마다 왜 다르게 오를까?

해수면은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게 오르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력·자외선 패턴과 해수의 재분배: 대규모 빙상 질량이 줄면 그 주변 바다의 중력 끌어당김이 약해져 인접 해역은 덜 오르고, 먼 지역은 상대적으로 더 오를 수 있습니다.
  • 대기·해류의 변화(열염 순환 등): 해류가 바뀌면 바다의 **물마루(해수면 높이)**가 지역적으로 달라집니다.
  • 지반의 융기·침강: 대륙 빙하가 녹은 뒤 지각이 천천히 되튀는 빙하성 융기, 지하수 과도 펌핑이 만드는 지반 침하는 지역 해수면을 크게 바꿉니다.
  • 기압·풍 패턴: 지속적인 바람·기압차는 해수를 한쪽으로 쌓이게 만들어 지역 해수면을 올리기도 합니다.

5) 해수면 10cm가 왜 중요한가? 체감 영향

  • 침수 빈도 급증: 평균이 10~20cm만 올라도, 같은 폭풍해일이 더 자주·더 깊게 들어옵니다.
  • 염해·지하수 염분화: 해안 농경지와 하천 하구 생태계가 염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 기반시설 리스크: 방파제·하수처리장·지하철 등 저지대 인프라는 설계 기준 재점검이 필요합니다.
  • 연안 침식 가속: 모래해변 후퇴, 절벽 붕괴, 습지 소실이 늘어납니다.

6) 도시와 개인이 지금 할 수 있는 대응

  1. 공간계획·건축기준 업데이트: 고도 기준선, 침수지도를 반영한 토지이용과 내수 침수 차단(문턱 높이, 역류방지).
  2. 자연 기반 해안방어: 사구 복원, 맹그로브·갯벌·염습지 확대는 파력 완충과 탄소흡수에 동시 기여.
  3. 조기경보·보험: 해일·폭풍 경보 체계 및 기후리스크 보험의 적용 범위를 넓혀 재정 복원력 강화.
  4. 배출 감축과 효율화: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전환, 해안도시의 순배출 감축은 장기 해수면 상승 속도를 억제합니다.

7) 한눈에 정리(요약)

  • 바다에 떠 있는 해빙이 녹는 것 자체는 해수면에 거의 영향 없음.
  • 해수면 상승의 주역은 따뜻해진 바닷물의 팽창 + 육지얼음의 유실.
  • 2100년 전지구 평균 해수면: 대략 0.3m~1m 범위가 많이 인용됨(시나리오·빙상 반응에 따라 달라짐).
  • 모든 육지얼음이 사라지는 극한 가정: 약 65~70m 상승(수천 년 규모 이야기).
  • 상승폭은 지역별로 다름: 해류·중력효과·지반변화가 좌우.
  • 지금의 10~20cm 상승도 해일·침수 빈도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